보도자료

㈜드림시큐리티, 국가 디지털플랫폼 핵심기술 연구 주관기업 선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22-05-16 18:07 조회6,421회

 

 드림시큐리티, 국가 디지털플랫폼 핵심기술 연구 주관기업 선정

"블록체인 상호연동 어려움 해결사로 나선다"

 

드림시큐리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지원하는 ‘22년도 블록체인산업 고도화 기술개발 사업 지정공모 과제인 이종 블록체인 시스템 간 표준 오퍼레이션을 통한 서비스 데이터 융합 및 상호운용 기술개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현재 공공/금융/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플랫폼이 구축되고 있다. 이들 사이에는 블록체인-블록체인 및 블록체인-비블록체인 등 이종 시스템의 이음새 없는 연동이 필연적이다. 정부는 데이터 복제, 데이터 이중 관리의 비용 절감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다양성 지원 및 이용자 편의성 제고 이종 블록체인 시스템 간에 원장 공유로 경제적· 사회적 가치 창출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 등이 이루어지도록 본 과제를 기획하였다.

드림시큐리티는 본 과제의 주관기업으로서 ‘25년까지 다양한 이종 시스템의 서비스 간에 상호운용을 위한 표준 오퍼레이션 기반 서비스의 데이터 융합 및 상호운용 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외 표준화 전문가들과 연구협력팀을 구성하여 본 과제 개발 기술을 표준화하여 기술 확산의 발판을 만들어 갈 계획이다.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기술이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해주는 인터체인 기술이다. 블록체인이 미래 산업을 이끄는 필수 기술이 되면서 국내외 IT 기업들이 너도나도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블록체인의 상호 연동은 필수불가결한 기술 차원을 넘어 블록체인 비지니스 생태계에 공정경쟁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개인이나 기업이 어느 특정 블록체인에 종속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드림시큐리티는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 간 정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금융, 건강, 교육 등 블록체인 기반 대국민 서비스 편의성 향상을 도모하고, 상호운용성 표준 기반 하에 기업들이 신규 서비스를 손쉽게 개발하는 데 기여하겠다고도 강조했다.

 

김영진 드림시큐리티 상무는 본 과제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금융분야를 포함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는 산업계와 공공부문을 위한 것이다. 폐사의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 연계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 조기에 기술 개발을 추진하여 표준화까지 성공적으로 달성하겠다. 또한 폐사의 보안·인증, 분산신원관리(DID), 블록체인 플랫폼 등에도 과제 개발 기술을 적용하여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위한 서비스사업에도 활용해 갈 계획이다.  특히, 가상현실 세계를 추구하는 메타버스와 NFT등 신기술과의 융합 분야에서도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드림시큐리티(www.dreamsecurity.com)에 대하여

드림시큐리티는 1998 설립이래 온라인 세상을 안전하게 하는 보안인증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왔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수한 인재를 확보 육성하여 첨단 기술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일반 산업 분야만 아니라 공공, 국방분야에까지 솔루션과 전국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드림시큐리티는 사업, 업무, 생활 환경의 디지털 변혁에 처한 기업과 개인고객이 안전하게 디지털 세상을 누릴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컨택포인트 : 김영진 상무 (전화번호 : 02-2233-5533)

 

관련뉴스 바로가기

22.05.16(월) 아시아경제 - 드림시큐리티, 디지털플랫폼 핵심기술...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등 상호연동 해결사 

맨 위로 가기/
맨 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