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드림시큐리티, 탈중앙 신원확인 솔루션 MagicDID 통해 비대면 인증보안 시장 본격 공략

페이지 정보

작성일20-05-13 16:55 조회10,625회

 

 

드림시큐리티, 탈중앙 신원확인 솔루션 MagicDID 통해 

비대면 인증보안 시장 본격 공략

 

 

 인증보안 전문기업 ㈜드림시큐리티(대표:범진규)는 분산ID(DID) 솔루션 Magic DID(매직디아이디)를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Magic DID 대부분의 블록체인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호환성 높은 분산ID 솔루션이다. 시중의 분산ID 기술이 대부분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며, 특정 블록체인만 사용해야 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또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DID 표준 규격을 준수하였으며, 전문 분야인 암호기술을 바탕으로 공공서비스에서 요구하는 국가용암호모듈검증(KCMVP)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을 한층 강화했다.

‘Magic DID’의 핵심 기술은 드림시큐리티가 2018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진행한 R&D과제 'O2O 서비스를 위한 무자각 증강인증 및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ID 관리 기술 개발' 를 통해 확보했다. 이 과제는, O2O(Online to Offline,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환경에서 추출한 바이오(얼굴) 정보와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분산ID를 연결하여 무자각 상태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분산 신원 증명 기술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로 금년에는 공동연구기관과 협력하여 자기 주권형 분산ID 기반의 구매 실증 서비스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분산ID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블록체인 공공선도 및 민간주도 시범사업’ 중 금년 시작된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경찰청) △자율주행차 신뢰 플랫폼(세종시) △디지털공공서비스 플랫폼(경남) 사업 등이 분산ID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정부는 176300만원 규모로 공고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구축 사업도 금년에는 공무원증을 시작해서 장애인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으로 범위를 확대하고2022년까지 국가 신분증 발급 관리체계를 분산신원증명(DID)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정부 각 부처 및 정보보안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중 '블록체인 확산 전략(가칭)'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한 정부 정책이 가시화되면 분산ID 기술 확산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드림시큐리티 블록체인응용개발부 우정민이사는 "Magic DID는 고객이 업무 환경에 적합한 블록체인을 선택하여, 독자적인 분산ID 체계를 구축하고자 할 때 최적의 선택이 될 수 있다.”면서, “Magic DID출시로 이용자의 개인정보 관리 주체가 서비스 제공자에서 개인으로 옮겨가는 인증체계의 근본적인 변화의 흐름을 선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드림시큐리티는 분산신원증명 솔루션을 출시함에 따라, 그간 인증암호 기술 기반으로 확보한 공공 및 민간 시장 대상으로 본격적인 비대면 인증보안 사업 및 분산ID 기술을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드림시큐리티(www.dreamsecurity.com)에 대하여


드림시큐리티는 1998 설립이래 온라인 세상을 안전하게 하는 보안인증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왔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수한 인재를 확보 육성하여 첨단 기술력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일반 산업 분야만 아니라 공공, 국방분야에까지 솔루션과 전국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드림시큐리티는 사업, 업무, 생활 환경의 디지털 변혁에 처한 기업과 개인고객이 안전하게 디지털 세상을 누릴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컨택 포인트: 이상현 이사 (전화번호: 010-2593-4334​  내선번호:316  이메일: shlee@dreamsecurity.com)

 

 


 

 

맨 위로 가기/
맨 위로 가기/